법인(재단)명 Dash Foundation
법인 소재지 미국 아리조나
설립일 2014년
대표인물 라이언 테일러(Ryan Taylor), 에반 더필드(Evan Duffield)
대표 홈페이지 https://www.dash.org/
최초발행 2014년 1월
시가총액 3.6조원(18.03.14 기준)
블록 생성주기 2.5분
채굴 보상량 현재 3.6 DASH (감소예정)
총 발행한도 22,000,000
합의 프로토콜 PoW + PoSe (Proof of Service)
백서 https://github.com/dashpay/dash/wiki/Whitepaper
코인 소개
대시는 익명성과 추적이 불가능한 성질을 갖는 분산 암호화 화폐입니다. 현금처럼 필요할 때 즉시 익명으로 결제 가능한 가상화폐이며, 지불수단의 용도로 특화되었습니다.
대시는 이전에 Xcoin, DarkCoin으로 불렸으며, 2015년 3월 최종적으로 DASH로 이름을 정하게 되었습니다. 이전 코인들의 이름이 불법 사이트와 연관이 있다는 루머 때문에 이름을 바꾸게 되었다고 합니다. 단, 이름이 비슷한 Dachcoin(DSH)과는 관련이 없으므로 주의하셔야 합니다.
코인 특징
1. 대시는 마스터노드(masternode)에 의한 코인조인방법(coinjoin method)을 사용해 강한 익명성을 구현합니다. 코인조인방법은 최소 세 개 이상의 거래를 묶어 한 번 이상 섞은 후 거래 내용을 내보내기 때문에 추적이 어려우며, 익명성을 강화합니다. 이 과정은 대시의 이원화된 네트워크 시스템의 두 번째 단계인 마스터노드에 의해 구현됩니다.
2. 채굴자 일원화 체제인 비트코인과 달리, 대시는 채굴자와 마스터노드(Masternode, Full nodes)로 이뤄진 이원화된 조직으로 코인을 발행합니다. 채굴자가 일차적으로 기본적인 송금과 이중지급 예방을 처리하면, 마스터노드는 코인조인방법으로 익명성을 강화하고, 예산을 관리하는 등의 역할을 합니다.
블록체인에 기여한 보상은 이 두 주체가 45%씩 가져가고, 나머지 10%는 예산 시스템을 위해 유보됩니다. 마스터노드가 되기 위해서는 1,000 DASH를 보유하고 있어야 하며, 이들이 네트워크의 주요한 서비스를 담당한다는 의미에서 Proof of Service(PoSe)라고 불립니다.
3. 대시는 블록마다 예산이 10%씩 쌓이는 독립적인 예산 시스템(DGBB)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다른 코인들처럼 기부나 후원에 의지하지 않고 자체 기금으로 운영(self-funded)됩니다.
4. 대시는 최종 공급량인 2,200만 개에 도달하기 위해 매년 7.14%씩 발행량이 줄어드는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핵심 가치
(키워드: 익명성, 실시간 결제, 분산화 경영)
1. 익명성: 대시는 마스터노드에 의한 코인조인방법으로 강력한 익명성을 구현합니다(Private send).
2. 실시간 결제: 4초 안에 거래가 완전히 완료되고, 이 또한 마스터노드에 의해 운영되는 서비스(Instant send)입니다.
3. 블록체인에 의한 분산화된 운영: 마스터노드들은 예산안이나 주요결정에 투표할 권리를 가지기 때문에 체계적으로 탈 중앙집권적인 관리경영을 실현할 수 있습니다.
※ 상기 내용은 코인 발행사가 제공한 자료이므로 투자시 확인이 필요합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인 기본정보-버트코인(Vertcoin) / VTC (0) | 2018.03.19 |
---|---|
코인 기본정보-지캐시(Zcash) / ZEC (0) | 2018.03.17 |
코인 기본정보-코모도(Komodo) / KMD (0) | 2018.03.16 |
코인 기본정보-어거(Augur) / REP (0) | 2018.03.14 |
코인 기본정보-스텔라루멘(Lumen) / XLM (1) | 2018.03.13 |